# 작성목적
지출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종신보험 해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.
1. 현재까지 실제 납입한 것과 가입시 예상해지환급금을 비교하고,
2. 해지하지 않고 납입시의 예상시나리오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합니다.
# 보험의 기본 정보
- 납입회차는 68회차로 5년~6년 사이로 생각됩니다.
6년으로 생각하고 비교해보겠습니다.
- 1회 보험료는 105,100원입니다.
# 주보장내역
- 홈페이지 계약조회 중 보장내역 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종신보험은 사망시에 보험금이 지급되는 것이 가장 크고, 그외 특약을 살펴봐야 합니다.
보장내역까지 고려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2대질병 진단에 해당되는 것은 뇌출혈 또는 급성심근경색증
제1보험기간은 3천만원 / 제2보험기간에는 6천만원
진단 확정시 지급됩니다.
11대질병 수술금은 제2보험기간 중 해당 질병의 치료를 위한 수술시4백만원 지급입니다.
11대 질병은 뇌혈관질환, 특정심장질환 등등이 해당되네요.
11대 질병수술은 70세가 지나야 보장이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.
제1보험기간은 가입시 ~ 전환나이 / 제2보험기간은 전환나이 ~ 종신입니다.
전환나이가 정확히 뭔지 모르겠는데 [기본계약사항조회]에 "보험기간"에 [70세만기(70세)/종신]
이라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70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.
# 해지환급금 비교
가입시의 예상해지 환급금입니다.
현재 예상해지환급금은 3,867,355원으로 환급률은 54.1%입니다.
현재까지 투자수익률은 예상해지환급금표 기준으로 0~3.75%로 생각됩니다.
# 결론
1. 예상해지환급금이 납입을 지속하면 100%되지 않나 싶었는데 투자수익률이 3.75%가 넘지 않으면 40년 이후에는 환급률이 100%를 못 넘을 듯 합니다.
- 7.5%이상의 수익률일 때 20년이상 지속하면 100%의 환급률이 되는데,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목표로 생각됩니다.
2. 현재 해지하면 300만원 정도의 돈을 날리게 되는 것이지만, 사망하지 않는다면 납입보험료 5천만원(50년의 납입보험료누계)을 보험료에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.
- 월 보험료는 105,100원이라 연간 126만원 정도입니다.
3. 결국 종신보험은 사망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이라 사망하지 않는다면 금전적으로는 손해(?)인 것이 정상입니다.
- 다만, 제 생각엔 사망시의 보장금액 1억원 자체도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아예 사망하지 않는 것을 가정하고 계획을 세우고자 합니다.
# 소회
- 가입시점으로부터 40년쯤 후가 납입이 완료되는 시점인데, 이때가 되면 누적 5천만원 납입해 사망시 1억원을 준다는 것 자체가 ‘참.. 남자는 보험료가 비싸다’ 싶네요.
- 제가 알고있기로는 변액보험이라 적립금이 커지면 사망보장금이 가입금액 1억원보다 클 수 있습니다만… 그게 수익률이 몇프로일 때 가능한 일인지 보험사에 되묻고 싶네요
지출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종신보험 해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.
1. 현재까지 실제 납입한 것과 가입시 예상해지환급금을 비교하고,
2. 해지하지 않고 납입시의 예상시나리오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합니다.
# 보험의 기본 정보
- 납입회차는 68회차로 5년~6년 사이로 생각됩니다.
6년으로 생각하고 비교해보겠습니다.
- 1회 보험료는 105,100원입니다.
# 주보장내역
- 홈페이지 계약조회 중 보장내역 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종신보험은 사망시에 보험금이 지급되는 것이 가장 크고, 그외 특약을 살펴봐야 합니다.
보장내역까지 고려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2대질병 진단에 해당되는 것은 뇌출혈 또는 급성심근경색증
제1보험기간은 3천만원 / 제2보험기간에는 6천만원
진단 확정시 지급됩니다.
11대질병 수술금은 제2보험기간 중 해당 질병의 치료를 위한 수술시4백만원 지급입니다.
11대 질병은 뇌혈관질환, 특정심장질환 등등이 해당되네요.
11대 질병수술은 70세가 지나야 보장이 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.
제1보험기간은 가입시 ~ 전환나이 / 제2보험기간은 전환나이 ~ 종신입니다.
전환나이가 정확히 뭔지 모르겠는데 [기본계약사항조회]에 "보험기간"에 [70세만기(70세)/종신]
이라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70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.
# 해지환급금 비교
가입시의 예상해지 환급금입니다.
현재 예상해지환급금은 3,867,355원으로 환급률은 54.1%입니다.
현재까지 투자수익률은 예상해지환급금표 기준으로 0~3.75%로 생각됩니다.
# 결론
1. 예상해지환급금이 납입을 지속하면 100%되지 않나 싶었는데 투자수익률이 3.75%가 넘지 않으면 40년 이후에는 환급률이 100%를 못 넘을 듯 합니다.
- 7.5%이상의 수익률일 때 20년이상 지속하면 100%의 환급률이 되는데,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목표로 생각됩니다.
2. 현재 해지하면 300만원 정도의 돈을 날리게 되는 것이지만, 사망하지 않는다면 납입보험료 5천만원(50년의 납입보험료누계)을 보험료에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.
- 월 보험료는 105,100원이라 연간 126만원 정도입니다.
3. 결국 종신보험은 사망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이라 사망하지 않는다면 금전적으로는 손해(?)인 것이 정상입니다.
- 다만, 제 생각엔 사망시의 보장금액 1억원 자체도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아예 사망하지 않는 것을 가정하고 계획을 세우고자 합니다.
# 소회
- 가입시점으로부터 40년쯤 후가 납입이 완료되는 시점인데, 이때가 되면 누적 5천만원 납입해 사망시 1억원을 준다는 것 자체가 ‘참.. 남자는 보험료가 비싸다’ 싶네요.
- 제가 알고있기로는 변액보험이라 적립금이 커지면 사망보장금이 가입금액 1억원보다 클 수 있습니다만… 그게 수익률이 몇프로일 때 가능한 일인지 보험사에 되묻고 싶네요
'투자 >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연말정산]개인연금저축 월납입액 정하기 (8) | 2019.02.21 |
---|---|
연금저축[보험]을 연금저축[펀드]로 바꾸자!! (11) | 2018.10.20 |
비트코인(Bitcoin)과 금의 상관관계_암호화폐는 달러의 대체재일 수 있는가? (2) | 2018.10.18 |
원금보장ELS 비추 (8) | 2018.10.17 |
예금과 펀드.뭐가 나을까?(2)_적금의 실제수익률 (0) | 2018.10.15 |